Description
G-061 蔘苓白朮散/Shen Ling Bai zhu Tang/삼령백출산 |
효능 : 만성 위장염, 특히 어린이 설사,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부녀의 백대하 구성 : 백삼 산약 백출 복령 의이인 백편두 연육 길경 사인 감초 복용 : 1일 3회, 1회 복용량 ---- 치료시 6~9g, 평상시 3g
Ginseng, Poria, and Atractylodes Macrocephala Decoction
Ingredients:
Common name | Literal Name | Pinyin Name | Korean Name | Weight |
Ginseng | Ginseng Radix | Ren Shen | 인삼 | 1.00 |
Dioscorea | Dioscoreae Rhizoma | Shan Yao | 산약 | 1.00 |
Atractylodis | Atractylodis Rhizoma Alba | Bai Zhi | 백출 | 1.33 |
Hoelen | Hoelen | Fu Ling | 복령 | 1.33 |
Coix | Coicis Semen | Yi Yi Ren | 의이인 | 2.67 |
Dolichos | Dolichoris Semen | Bai Bian Dou | 백편두 | 1.33 |
Lotus seed | Nelumbiruis Semen | Lian Zi | 연자 | 1.33 |
Platycodon | Platycodi Radix | Jie Geng | 길경 | 0.83 |
Amomum | Amomi Semen | Sha Ren | 사인 | 0.67 |
Licorice | Glycyrrhizae Radix | Gan Cao | 감초 | 0.50 |
Source:
Imperial grace formulary of the Tai Ping Era (Tai Ping Hui Min He Ji ju Fang).
Actions:
Augments the qi, strengthens the Spleen, leaches out dampness, and stops diarrhea.
Indications:
Pallid and wan complexion, loose stools or diarrhea (especially in children), indigestion, reduced appetite, weakness of the extremities, distention and a stifling sensation in the chest and epigastrium, vomiting, tendency toward to fatigue, borborygmus, weight loss, leukorrhea, indigestion, intestinal tuberculosis, uterine bleeding, chronic gastritis, chronic bronchitis, chronic hepatitis, chronic nephritis, diabetes mellitus, malabsorption syndromes, malnutrition (especially in children).
Cautions and Contraindications:
Use with caution and only after significant modification in case with concurrent heat from yin deficiency.
G-061 蔘苓白朮散/Shen Ling Bai zhu Tang/삼령백출산 |
Ginseng, Poria, and Atractylodes Macrocephala Decoction
效能:
補氣健脾. 利氣化濕. 止瀉.
適應症:
야위고 안색이 좋지 않으며 식욕이 없고 설사(軟便이나 水樣便, 不消化物하리)가 계속되는 다음 제증: 식욕부진. 만성설사. 병후의 체력저하. 피로. 권태. 어린이 설사. 복명. 백대하. 체중감소. 기관지 천식. 만성 기관지염. 위하수. 만성 위장염. 위하수. 빈혈증. 만성 腎炎. 진성당뇨병(DM).
藥效群: 止瀉整腸藥. 强壯藥.
參考:
脾胃氣虛로 인한 下痢의 대표처방.
체질적으로 위장이 약하고 하리가 잦은 경향이며 식욕이 당기지 않으며 빈혈이 있어 쉬 피로하고 기력이 떨어지고 복부에 가스가 저류되어 복명이 있고 胃部가 팽팽하고 답답하나 복통이나 이급후중이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본방을 적용하는 증상은 전신의 기능 특히 소화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주로 흡수장애로 인한 소화관내의 수분과잉 때문에 수양변이나 不消化便을 보이는 경우이다. 수분배설을 못하면 부종을 초래하는데 여기에는 저담백혈증도 관련된다.
◆ 진성 당뇨병(Diabetes Mellitus):
탄수화물을 산화하는 기능이 여러 가지로 장애된 대사성 질환으로 보통 췌장 특히
Langerhans섬의 활성저하와 그 결과 발생하는 인슐린기구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며 이것은 과혈당증을 야기하여 당뇨, 갈증 등을 수반하는 다뇨, 공복, 수척, 쇠약 등의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지방의 불완전 연소를 야기 시켜 acidosis가 생기고 때때로 호흡곤란, 脂肪血症, 키톤뇨가 생기며 최후에는 혼수에 이른다.
한편 瘙痒症이나 化膿性 感染에 대하여 저항력 감퇴도 생긴다.
Reviews
There are no reviews y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