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특징
무는 배추과의 먹을 수 있는 뿌리 채소로 세계 곳곳에서 재배 됩니다. 재래종으로 우리가 즐기는 깍두기나 김치용 무로 뿌리의 지름이 7∼8㎝, 길이가 20㎝ 정도 되며 무게는 800∼900g이다.
영양성분
무는 김치·깍두기·무말랭이·단무지 등 그 이용이 매우 다양하다. 특히, 비타민 C의 함량이 20∼25㎎이나 되어 예로부터 겨울철 비타민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 밖에 무에는 수분이 약 94%, 단백질 1.1%, 지방 0.1%, 탄수화물 4.2%, 섬유질 0.7%가 들어 있습니다. 무는 전분을 분해하는 아밀라아제와 디아스타제가 많이 들어가 있어 과식으로 소화제가 없을 때 무를 먹으면 효과가 좋습니다. 또 무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줄입니다. 무에 포함된 수용성 식이섬유소는 콜레스테롤을 방출하는 역할을 하고 불용성 식이섬유소는 장운동을 촉진시키고 수분을 흡수시켜 변비예방, 정장장용(장청소)에 좋습니다.
무는 항암효능도 높습니다. 무뿌리와 잎에 있는 성분인 인돌과 글루코시노레이트는 몸속에 들어온 발암 물질의 독성을 없애는 효과가 있어 조림이나, 국을 하면 국물에 인돌성분이 녹아들어 항암효과를 증가 시킵니다. 무청은 식이섬유와 카로틴, 철분, 칼슘등이 풍부해서 칼슘은 무(뿌리)의 약4배에 이르며 무청에는 비타민 C가 풍부합니다. 그러나, 위궤양이 있는 사람에게 빈속에 생무를 섭취할 경우 속이 쓰리거나, 무는 기운을 내리기 때문에 몸이 약한 사람은 오히려 좋지않다. 따라서 맥이 약하거나, 손발이 찬 사람은 무를 많이 먹지않도록 해야합니다.
재배방법
가을무는 8월 중순이나 하순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 합니다. 재배기간은 약 3개월입니다.
Reviews
There are no reviews yet.